<떡취(큰수리취)나물>
곤드레
곤드레는 부드러운 맛이 있으며, 향기가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곤드레 나물에는 단백질, 칼슘, 비타민 A등의 영양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곤드레를 쌀과 섞어서 밥을 지어 양념장과 곁들여 비벼 먹으면 그 맛이 일품이며, 요즘 건강식으로 좋은 호평을 받고 있습니다. 5월에 채취할 수 있습니다
개두릅
엄나무의 새순으로 4월~5월경에 채취합니다. 무침 또는 회로 먹으며 양지바른 계곡이나 산에 잘자랍니다
단풍취
키가 작고 잎은 원형에 가까우며 6개의 톱니가 있으며 잎에 작은 털이 많이납니다. 5월초~중순경에 채취합니다. 생채 또는 데쳐서 쌈으로 먹으며 응달진 곳의 나무밑이나 그늘진 곳에 잘자랍니다.
고들빼기
봄의 어린싹은 섬유질이 적고,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등의 성분이 있습니다. 살짝데쳐낸뒤 나물로 먹거나 생채로 먹습니다. 집주변 어디서나 찾기 쉽습니다.
곰취
잎은 하트 모양이며 잎의 가장자리가 톱니모양이고, 가을에 노란 꽃이 피며 5월초~중순경에 채취합니다. 생채 또는 데쳐서 쌈으로 먹으며 응달지고, 습지에 잘자랍니다.
원추리
잎의 길이는 80Cm가량 난초처럼 생겼고 잎을 4월~5월경에 채취합니다. 잎줄기 무침으로 먹으며 양지 계곡이나 산에 잘자랍니다.
미역취
키가 작고 잎은 좁고 길며 줄기는 약간 붉은색이며 5월초~중순경에 채취합니다. 생채 또는 데쳐서 쌈으로 먹으며 양지바르고, 햇볕이 잘드는 곳 자랍니다.
돌미나리
향이 강하고 해독 작용이 뛰어납니다. 김치의 재료, 강회, 샐러드, 생채, 녹즙 등으로 이용됩니다.
산마늘
잎은 긴 타원형이며 잎과 줄기에서 향기가 나며 5월초~중순경에 채취합니다. 생채 또는 데쳐서 쌈으로 먹으며 깊은 산속 응달진 곳에 잘자랍니다.
머위
잎은 곰취처럼 둥글고 크며 잎 가장자리가 곰취와 다르게 불규칙한 톱니모양입니다. 5월초~중순경에 채취합니다. 생채 또는 데쳐서 쌈으로 먹으며 응달진 곳에 잘자랍니다.
비비추
잎은 큰 근생엽이며 심장형 또는 난상의 넓은 타원형 땅에 붙어 자라며 5월 초~중순경에 채취합니다. 생채 또는 데쳐서 쌈으로 먹으며 양지바른 들이나 낮은 산에 잘자랍니다.
둥글레
봄철에 어린 잎과 뿌리줄기를 식용합니다. 산과 들에서 자랍니다.
참나물
미나리처럼 작은 잎을 가지고 있으며 5월초~중순경에 채취합니다. 생채 또는 데쳐서 쌈으로 먹으며 응달지고, 습지에 잘자랍니다.
참취
잎은 굵은 톱니 모양이며 키가 작고 향기가 좋으며 5월초~중순경에 채취합니다.
생채 또는 데쳐서 쌈으로 먹으며 양달진 곳에 잘자랍니다.
우산나물
잎은 여러갈래로 우산모양이며 5월초~하순경에 채취합니다.
무쳐 먹으며 양지 들이나 산에 잘 자랍니다
고사리
잎은 콩나물 모양의 줄기가 자라 잎이 펴지며 잎은 겹으로 여러갈래가 나옵니다. 잎 전체에 작은 솜털이 많고 어린줄기를 5월경에 채취합니다. 나물로 먹으며 우리나라 전역에 자라며 특히 수분이 많은 곳에 잘 자랍니다.
두릅
줄기는 곧고 가시가 많이 나 있으며 잎은 호생잎에도 가시가 있습니다. 먹으면 특유의 향이나고 어린순을 4월~5월경에 채취합니다. 무침 또는 회로 먹으며 양지바른 계곡이나 산에 잘 자랍니다.
달래
산과들 어디서나 잘 자라며, 알뿌리 날것을 무침으로 먹거나 부침 재료로도 이용합니다.
돌나물
잎은 작고 끝이 뾰쪽하며 잎의 두께가 도톰하며 5월초~중순경에 채취합니다. 생채로 먹으며 양지바른 들이나 낮은 산에 잘자랍니다.
'성인 정보 마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철 음식 달력 (0) | 2009.05.07 |
---|---|
시골 산나물들 (0) | 2009.05.07 |
울릉도에 나는 명이나물 (0) | 2009.05.07 |
산야초발효액에 쓰이는 설탕의 변화 (0) | 2009.05.07 |
홍경천1 (0) | 2009.05.07 |